서울 디자인 전문대학 탐방

안녕하세요! 오늘은 서울에 위치한 다양한 디자인 관련 전문대학들을 살펴보려 합니다. 2025학년도 수능이 다가오면서 진로 선택에 대한 고민이 깊어지는 시점에서, 디자인 분야에 관심 있는 수험생 여러분께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각 대학의 학과, 졸업 후 진로, 취득 자격증, 주요 교과목 등을 상세히 소개드릴 예정입니다. 함께 서울의 디자인 전문대학 탐방을 시작해보겠습니다.

썸네일

생활환경공학부

서울의 많은 디자인 전문대학 중에서, 생활환경공학부는 실내건축디자인과, 시각디자인과, AR/VR 콘텐츠디자인과로 나뉘어 있습니다. 각 전공마다 특색이 있으며, 졸업 후 진로 또한 다양합니다.

아래 표에서 각 전공의 주요 내용을 정리하였습니다.

전공 졸업 후 진로 취득 자격증 주요 교과목
실내건축디자인과 실내건축디자인 및 시공, 공간연출, 건축설계, 가구 및 조명디자인 등 실내건축산업기사, 건축산업기사, 컬러리스트 등 주거공간설계, 현대디자인과문화, 색채와디자인 등
시각디자인과 디자인 전문회사, 기업체 디자인팀, 패키지, 웹디자인 등 시각디자인기사, 컴퓨터그래픽기능사, 웹디자인기능사 등 시각디자인론, 디지털편집, 인터페이스디자인 등
AR/VR 콘텐츠디자인과 게임, 영상/영화, 메타버스디자인, 디지털콘텐츠디자인 등 GTQ, ACA, 증강현실전문가, 멀티미디어콘텐츠전문가 등 프로그래밍기초, 디자인과콘텐츠문화, UI/UX디자인 등

실내건축디자인과

실내건축디자인과는 공간의 디자인과 연출을 학습하는 과목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졸업 후에는 실내건축디자인 및 시공, 공간연출 등의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할 수 있습니다.

특히, 실내건축산업기사와 같은 자격증을 취득하면 더욱 경쟁력을 갖출 수 있습니다. 주요 교과목으로는 주거공간설계, 현대디자인과문화, 색채와디자인 등이 있습니다.

시각디자인과

시각디자인과는 시각적 요소를 통해 메시지를 전달하는 디자인의 기초를 다집니다. 졸업 후 디자인 전문회사나 기업체 디자인팀 등에서 일할 수 있습니다.

시각디자인기사와 같은 자격증을 취득하면 취업에 유리합니다. 시각디자인론, 디지털편집, 인터페이스디자인 등의 과목을 통해 실무 능력을 키우게 됩니다.

AR/VR 콘텐츠디자인과

AR/VR 콘텐츠디자인과는 최신 기술을 활용한 콘텐츠 제작을 중심으로 교육합니다. 졸업 후 게임, 영상/영화, 메타버스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진로를 찾을 수 있습니다.

GTQ와 같은 자격증 취득이 가능하며, 프로그래밍기초, UI/UX디자인 등의 과목이 주요 교육 내용입니다.

융합문화디자인

서울의 또 다른 중요한 디자인 전문대학으로는 융합문화디자인이 있습니다. 이는 산업디자인과, 인테리어디자인과, 시각미디어디자인과, 영상콘텐츠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각 전공의 졸업 후 진로와 주요 내용은 아래 표에서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

전공 졸업 후 진로 취득 자격증 주요 교과목
산업디자인과 제품디자인, 패키지, 상품디자인 등 제품디자인산업기사, 컬러리스트산업기사 등 디자인론, 입체조형, 색채학 등
인테리어디자인과 인테리어디자이너, 전시디자이너 등 실내건축기사, 컬러리스트기사 등 공간영상과 편집, 실내계획론 등
시각미디어디자인과 그래픽디자이너, 광고디자이너 등 GTQ, 컴퓨터그래픽스운용기능사 등 컴퓨터활용과 정보처리, 조형및표현기법 등
영상콘텐츠과 방송사, 영상제작프로덕션 등 GTQ, ACA, 디지털영상편집자격 등 커뮤니케이션, 영상디자인개론 등

산업디자인과

산업디자인과는 제품 및 상품 디자인을 중점적으로 다루며, 졸업 후에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일할 수 있습니다. 제품디자인산업기사와 같은 자격증이 유용하며, 디자인론, 입체조형, 색채학 등의 과목을 통해 디자인 감각을 기릅니다.

인테리어디자인과

인테리어디자인과는 공간의 미적 요소 및 기능성을 고려한 디자인 교육을 제공합니다. 졸업 후 인테리어디자이너로서 전시디자인이나 공간코디네이터 등으로 진출할 수 있습니다.

실내건축기사 등의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으며, 실내계획론, 공간영상과 편집 등의 과목을 이수합니다.

시각미디어디자인과

시각미디어디자인과는 그래픽 디자인, 광고 디자인, 웹 디자인 등을 포함한 다양한 시각적 커뮤니케이션 분야를 다룹니다. 졸업 후 그래픽디자이너나 광고디자이너로 활동할 수 있으며, GTQ와 같은 자격증 취득이 가능합니다.

주요 과목으로는 디자인과색채, 패키지디자인 등이 있습니다.

영상콘텐츠과

영상콘텐츠과는 방송 및 영상 제작을 중심으로 한 교육 과정입니다. 졸업 후 방송사나 영상제작 프로덕션에서 일할 수 있으며, GTQ와 같은 자격증이 유용합니다.

영상디자인개론, 커뮤니케이션 등의 과목을 통해 실무 능력을 배양하게 됩니다.

다른 내용도 보러가기 #1

예술 · 건강학부

마지막으로, 예술 · 건강학부에 속한 산업디자인과, 패션리빙디자인과, 커뮤니케이션디자인과를 살펴보겠습니다. 이 학부는 디자인의 실용성과 예술성을 동시에 강조하는 교육 과정을 제공합니다.

아래 표에서 각 전공의 세부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공 졸업 후 진로 취득 자격증 주요 교과목
산업디자인과 공간디자이너, 제품디자이너 등 실내건축산업기사, 제품디자인산업기사 등 융합디자인세미나, 시스템디자인 등
패션리빙디자인과 패션디자이너, 인테리어소품디자이너 등 GTQ, 패션스타일리스트 등 리빙상품스튜디오, 패브릭디자인 등
커뮤니케이션디자인과 디지털미디어기획자, 디지털미디어디자이너 등 시각디자인산업기사, 멀티미디어콘텐츠제작전문가 등 모션브랜딩, 영상스튜디오 등

산업디자인과

산업디자인과는 공간 및 제품 디자인에 대한 실질적인 교육을 제공합니다. 졸업 후 공간디자이너나 제품디자이너로서의 경로를 선택할 수 있으며, 실내건축산업기사와 같은 자격증 취득이 가능합니다.

융합디자인세미나, 시스템디자인 등의 과목을 통해 다양한 디자인 방법론을 배울 수 있습니다.

패션리빙디자인과

패션리빙디자인과는 패션 및 리빙 상품 디자인을 중점적으로 다루며, 졸업 후 패션디자이너나 인테리어소품디자이너로 진출할 수 있습니다. GTQ와 같은 자격증 취득이 가능하며, 리빙상품스튜디오, 패브릭디자인 등의 과목을 통해 실무 능력을 기릅니다.

커뮤니케이션디자인과

커뮤니케이션디자인과는 디지털 미디어와 디자인의 융합을 강조합니다. 졸업 후 디지털미디어기획자나 웹디자인 분야에서 활동할 수 있으며, 시각디자인산업기사와 같은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습니다.

모션브랜딩, 영상스튜디오 등의 과목을 통해 실무 경험을 쌓게 됩니다.

결론

서울의 디자인 전문대학들은 각기 다른 전공과 커리큘럼을 통해 학생들에게 다양한 진로 선택의 기회를 제공합니다. 디자인 분야에 대한 관심이 있는 학생들에게는 졸업 후 높은 취업률과 실습 중심의 교육이 큰 장점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각 대학의 전공과 교과목을 잘 살펴보시고, 자신의 진로에 맞는 선택을 하시길 바랍니다. 오늘 소개한 정보가 여러분의 진로 탐색에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관련 영상

같이 보면 좋은 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